건강정보


칼럼

홈으로_건강정보_칼럼

제목

매일 '이 과일' 한 개 먹었더니… "당뇨 전단계 혈당 개선 효과"


美 조지메이슨대 공동 연구팀, 당뇨병 전단계 성인 23명 대상 연구

'24주간 망고 섭취' 그룹... '공복 혈당' 감소 및 인슐린 감수성 개선 효과

풍부한 섬유질과 생리활성물질, 혈당 조절과 체성분 개선에 긍정적

매일 신선한 망고를 섭취하는 것이 당뇨병 전단계 성인의 혈당 조절 능력과 신체 구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 및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당뇨병 전단계 성인을 대상으로 24주간 연구를 진행하여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당뇨병 발병 위험이 큰 상황에서 특정 과일 섭취가 대사 건강에 미치는 장기적인 효과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연구팀은 당뇨병 전단계 진단을 받은 50세에서 70세 사이의 성인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24주간 무작위 대조 연구를 진행했다. 총 23명의 참가자 중 한 그룹(11명)은 매일 약 300g(망고 1개)의 신선한 망고를 섭취했고, 다른 그룹(12명)은 망고와 동일한 열량을 가진 그래놀라 바를 섭취했다. 연구팀은 연구 시작점과 6주, 12주, 24주 차에 혈액 샘플과 신체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여 변화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24주 후 망고를 섭취한 그룹은 대조군에 비해 주목할 만한 건강 지표 개선을 보였다. 망고 섭취 그룹의 공복 혈당은 대조군보다 평균 18.3mg/dL 유의하게 낮았다. 장기 혈당 지표인 당화혈색소(HbA1c) 수치는 망고 섭취 그룹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 반면, 대조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했다. 또한, 망고 섭취 그룹은 인슐린 저항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인슐린 민감도는 개선되었다. 체성분 분석에서는 체지방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지방을 제외한 체중(fat-free mass)은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번 연구는 망고가 천연당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풍부한 식이섬유, 비타민, 폴리페놀 등 생리활성물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혈당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가공된 간식 대신 섬유질이 풍부한 통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대사 건강에 더 유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당뇨병 고위험군이 식단을 관리할 때, 단순히 당 함량만을 고려하기보다 식품 전체의 영양적 가치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연구의 제1저자인 라에데 바시리(Raedeh Basiri) 교수는 "24주간의 매일 망고 섭취가 당뇨병 전단계 환자들의 단기 및 장기 혈당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켰으며, 신체 구성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향후 연구에서 더 다양한 인종을 포함하고, 망고의 생리활성물질이 인슐린 신호 전달과 염증 조절에 미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밝힐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번 연구 결과('Daily Mango Intake Improves Glycemic and Body Composition Outcomes in Adults with Prediabete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당뇨병 전단계 성인의 일일 망고 섭취가 혈당 및 체성분 결과에 미치는 영향)는 25년 8월 국제학술지 '식품(Foods)'에 게재됐다.